전체 글 354

OpenWrt, package 부분 빌드하기.

[OpenWrt, 전체 기본 Image 만들기] 위 글을 참조해서 전체 Full Build를 한 번 진행했다면, package 의 부분 빌드가 가능하고, 해당 빌드로 만들어진 산출물만 설치가 가능해진다. 즉, 전체 빌드를 하지 않으므로 빠른 시간내에 수정 및 확인이 가능해진다. package build 방법은 다음과 같다. # make package/[package 이름]/compile 좀 더 자세한 로그와 함께 빌드를 진행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해주면 된다. # make package/[package 이름]/compile V=s Platform 마다 경로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아래의 위치에 산출물인 .ipk 파일이 업데이트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cd bin/ar71xx/packages/b..

OS/OpenWRT, LEDE 2016.07.19

Android Studio, module 삭제.

Android studio에서 작업을 하다 보니 아까 내가 테스트로 잠시 만들어 놓았던 code가 별도의 모듈로 project 에 추가되어 있었다. 별도의 project 를 만들어서 테스트했던 줄로만 착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잘못 생성된 혹은 불필요하게 된 Module을 project에서 삭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File > Project Structure] 1. Project Structure 메뉴에 진입한 이후 위와 같이 왼쪽 메뉴 아래에 Modules에서 필요없는 모듈을 선택한다. 2. 선택 후 위헤 +, - 아이콘에서 -를 눌러 삭제한다 . 3. 여기서 삭제하게 되면 project에서 구조적으로 삭제가 될 뿐 실제 관련 파일들이 삭제되지는 않는다. 이 부분은 실제 탐색기에 들어..

Android 2016.07.19

Android Studio, Instant Run 에 대한 이해

안드로이드 앱 제작시 기본적으로 코드의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코드 작성 -> 빌드 -> 결과물 deploy -> 결과물 확인 이 과정을 반복적으로 계속 하면서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Instant Run, 이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면 말그대로 코드 수정하는 즉시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코드를 수정하는 순간 빌드, deploy 없이 바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해당 기능이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Android Studio 2.0 이상 Android Plugin for Gradle version 2.0.0 이상minSdkVersion 15 이상 (원활한 성능을 위해서는 minSdkVersion 21 이상) Instant Run의 종류에는 아래..

Android 2016.07.18

[해결방법] The number of method references in a .dex file cannot exceed 64K.

Android Studio : 2.1.2 minSdkVersion 15 (Android 4.0.3 APIs)Google Maps Activity Google Maps 기반으로 작업할 일이 생겨서 기본 Activity 로 Google Maps Activity 를 선택하고 project 를 빌드해 보았다. 별다르게 코드를 넣은 것도 아닌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빌드가 되질 않는다. Error:The number of method references in a .dex file cannot exceed 64K.Learn how to resolve this issue at https://developer.android.com/tools/building/multidex.html Android project..

Android 2016.07.18

[해결방법] To run dex in process, the Gradle daemon needs a larger heap.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이라기 보다 Warning에 대한 해결 방법이다. 빌드를 하다보면 아래와 같은 로그가 나올 때가 있는데 Gradle에서 사용하는 기본 heap 이 작게(?) 잡혀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사실 아래 로그와 같이 910MB정도면 작은 편은 아닌데, 상당히 많은 heap을 사용하는 것 같다. To run dex in process, the Gradle daemon needs a larger heap.It currently has approximately 910 MB.For faster builds, increase the maximum heap size for the Gradle daemon to more than 2048 MB.To do this set org.gradle.jvmar..

Android 2016.07.18

Android - Android Studio에서 빌드 후 apk 위치.

보통은 Android Studio에서 빌드하게 되면 자동으로 install하고 실행까지하게 되어 apk를 확인할 일이 별로 없지만 apk 를 직접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Workspace 이름, Project 이름 같은 경우는 개별적으로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workspace와 project 를 확인하여 아래 경로에 가보면 apk 를 확인할 수 있다. [Workspace 명]\[Project 명]\app\build\outputs\apk 해당 경로에 가보면 아래와 같이 apk 파일 확인이 가능하다. app-debug.apkapp-debug-unaligned.apk

Android 2016.07.18

Windows 10, 가상 데스크톱(Virtual Desktop), 더 넓어진 화면

기존 Windows 에는 없던 가상 데스크톱(Virtual Desktop) 기능이 Windows 10에 추가되었다. 사실 이런 종류의 기능은 Ubuntu 에서도 존재하는데, 이번에 Windows 10에서도 동일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Ubuntu 의 Virtual Workspace]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은 알고 있겠지만 해당 기능은 말 그대로 가상으로 화면을 더 넓게 해주는 것이다. 가상 데스크톱새로 만들기를 계속 눌러봤는데 30개 이상까지도 만들어지는 것을 보면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음껏 만들수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Windows 10의 신기능인 가상 데스크톱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우선 가상 데스크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 작업 표시줄에 보이는 네모 ..

OS/Windows 2016.07.18

OpenWrt/LEDE, 전체 기본 Image 만들기

OpenWrt를 처음 접한다면 OpenWrt를 소개하는 아래글을 먼저 읽어보는 것을 권장한다. OpenWrt, 리눅스를 공유기 속으로. OpenWrt에 대해 이해하였고, 자신의 공유기에 OpenWrt를 적용하기로 결정을 했다면 자신이 빌드하고 적용하고자 모델이 OpenWrt에서 지원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OpenWrt 지원 여부 확인하기 OpenWrt에 대해 이해하였고, 보유한 공유기에 대해 빌드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아래 절차를 참고하면 된다. OpenWrt를 빌드하고자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코드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바이너리를 먼저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본 동작을 하는 바이너리가 확보되어야 그것을 바탕으로 수정 사항을 확인해 볼 수 있..

OS/OpenWRT, LEDE 2016.07.14

VirtualBox, Host PC와 파일/폴더 공유하기.

VirtualBox를 쓰다보면 VirtualBox내 파일을 Host PC 로 옮긴다거나 Host PC 의 파일을 VirtualBox내로 옮겨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곤 한다. 이런 경우를 위해 VirtualBox에서는 공유 폴더를 통해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어 소개한다. (Host PC : Windows, VirtualBox : Linux) 우선 상세한 설명에 앞서서 "VirtualBox, 자유롭게 화면 해상도 조절하기." 글에서 소개했던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의 설치가 필요하다. 만약 설치하지 않았다면 해당 글을 참고해서 설치를 먼저 진행해야 한다. http://technote.kr/157 공유 폴더 설정을 위한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설치 후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Hos..

Linux/Ubuntu, 용량 큰 파일/디렉토리 찾아내기.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저장 공간이 부족해져 일부 파일을 삭제해야 할 때가 있다. 이왕이면 안쓰고, 크기가 큰 파일을 삭제하고자 하는데 그 큰 크기의 파일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로 만약 VirtualBox를 쓴다면 가상 하드 디스크 자체를 늘리는 방법도 있다. -. VirtualBox, 가상 하드 디스크 용량 조절하기. 리눅스에서 파일 사이즈를 아는 방법은 다양하다. 흔히 사용하는 ls를 사용할 수도 있고, du를 사용하는 방법 또한 있다. 여기서는 du를 사용해 보고자 한다. # du -s # du -sh du -s 를 실행하게 되면 하위 디렉토리 모두 포함한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크기를 KB(킬로바이트) 크기의 단위로 보여준다. du -sh 와 같이 h 옵션도 붙여주게 되면 huma..

OS/Linux 2016.07.13